민간 세무플랫폼으로 인한 논란이 지속되자 국세청이 종합소득세 신고 기한을 놓친 납세자들에게 환급금을 돌려주는 서비스인 '원클릭'을 31일 도입했습니다.
환급액의 10~20%쯤 되는 수수료를 받고 비슷한 서비스를 운영하는 민간 세무 플랫폼이 급성장하면서 종합소득세 환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신고에서 과다한 환급을 신청해 가산세가 발생하거나 플랫폼의 정보 수집 과정에서 국세청 서버에 과부하가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국세청에 직접 제공을 하게 되었습니다.
목차
원클릭 대상자
배달 라이더와대리기사 등 프리랜서(인적 용역 사업자), 자영업자, 강연료와 인세 등 종합소득세 대상 수입이 있는 직장인 가운데 종합소득세 신고를 놓친 적이 있는 납세자가 대상입니다.
원클릭 이용방법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한 뒤 '원클릭 환급 신고' 버튼을 클릭하고 간편 인증 등으로 로그인하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치 환급액을 볼 수 있습니다.
원클릭 장단점
국세청의 원클릭 서비스는 민간 플랫폼과 달리 수수료 부담이 없고, 추가적인 개인정보 수집 없이 국세청에서 보유한 자료로 신청을 안내해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적습니다.
국세청에서 공제요건을 검토해 환급세액을 계산하는 만큼 가산세 위험도 없습니다.
하지만 부양가족 공제나 주택담보대출 이자 상환액 공제 등을 놓친 납세자들의 환급액도 계산해주는 민간 플랫폼에 비해서는 서비스 범위는 좁은 편입니다.
부양가족 등 추가 공제 항목을 입력하지 않고 국세청이 안내한 금액을 수정 없이 그대로 신고하는 경우에는 환급 검토 기간을 대폭 단축해 1개월 이내에 지급할 계획이라고 하니 수수료를 아끼고자 하시는 분들은 이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세대 실손보험 달라지는점 (0) | 2025.04.10 |
---|---|
고령층을 위한 민간임대주택 실버스테이 (0) | 2025.03.30 |
서울시 주택정책 미리내집 소개 (0) | 2025.03.29 |
중장년대상 경제교육 재무상담 (0) | 2025.03.21 |
서울영테크2.0 모집 - 자산관리 기초 세우기 (0) | 2025.03.16 |
환경보호도 하고 앱테크도 하는 탄소중립포인트 (0) | 2025.03.14 |
2025년 안경구입 지원 정책 (0) | 2025.02.22 |
어린이보호구역 과태료 정보 (0) | 2025.02.10 |